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qlite
- 유니티
- Excel
- Linux
- PyQt
- 리눅스
- ASP
- swift
- port
- pandas
- node.js
- 함수
- GIT
- Unity
- javascript
- PyQt5
- MS-SQL
- IOS
- MySQL
- urllib
- mssql
- ubuntu
- PER
- 라즈베리파이
- tensorflow
- 맛집
- 다이어트
- flutter
- 날짜
- python
목록2020/08 (2)
아미(아름다운미소)
자신이 가진 주식을 금액으로 환산한 가치입니다. 대용금은 보유 주식, 채권 등 투자하고 있는 상품을 평가한 금액을 말합니다. 보통 전일종가의 70~80% 선에서 금액이 정해집니다. (잔고 주식 수량 * 그 주식 전날 종가의 70%로 계산됩니다.) 주식을 주문할 때 현금을 대신해 대용금을 일부 증거금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유 주식을 담보로 당장 현금이 없어도 일정 금액을 매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대용금을 증거금으로도 살수 있으니 곧 주식을 담보로 또다른 주식을 살 수 있습니다. (전일종가는 전날 형성된 주식 가격이나 지수 중 가장 마지막으로 형성된 가격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증권시장은 오후 3시 30분에 폐장하니 그 시각 가격이 종가가 됩니다. 전일종가는 대용금 뿐만 아니라 그 다음날 시작하는..
오늘날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보조지표중 스토캐스틱(Stochastic)은 단기신호를 빠르게 잡아낸다는 점에서 단기 투자자들의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죠지 레인(George Lane)이 1950년대에 개발한 스토캐스틱은 일정기간 동안의 가격범위에서 종가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계산하여 가격의 모멘텀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스토캐스틱은 %K선과 %D선을 구하여 두 선이 교차하는 지점과 두 선의 값으로 매매시그널을 잡아냅니다. 스토캐스틱은 0에서 100사이의 값을 가지는데, 보통 80이상은 과매수구간, 20미만은 과매도구간으로 봅니다. 만일 과매수구간에서 %K선이 %D선을 뚫고 내려오면 매도시그널, 과매도구간에서 %K선이 %D선을 뚫고 올라가면 매수시그널입니다. 20에서 80사이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휩소일 가능..